본문 바로가기

Generative AI

[AI] Generative AI의 소개 및 활용분야와 코드

반응형

목차

  1. Generative AI 소개
    • Generative AI의 개념과 역사
    • Generative AI가 사용되는 분야와 예시
  2. Generative 모델의 기초
    • 확률론적 생성 모델의 기초
    • 확률분포 모델링
    • 최대우도 추정과 베이즈 추정
  3. Variational Autoencoder(VAE)
    • Autoencoder의 개념과 구조
    • Variational Autoencoder(VAE)의 개념과 구조
    • VAE를 이용한 이미지, 음성, 텍스트 생성 등의 예시
  4.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
    • GAN의 개념과 구조
    • GAN을 이용한 이미지, 음성, 텍스트 생성 등의 예시
    • GAN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5. 딥러닝 모델의 활용
    • Transfer Learning과 Fine-tuning을 이용한 Generative AI
    • 다중 스타일 Transfer Learning
    • 큰 모델을 이용한 Generative AI
  6. Generative AI의 활용 분야
    • 예술과 디자인
    • 게임 개발
    • 대화 시스템 및 자연어 처리
  7. Generative AI의 한계와 미래 전망
    • Generative AI의 한계와 문제점
    • 미래에 Generative AI가 가질 가능성과 활용 방안
  8. Code example
    • Variational Autoencoder (VAE)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1 Generative AI 소개

Generative AI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AI는 주로 이미지, 음악,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딥러닝과 같은 머신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음악 분야에서는 새로운 멜로디를 생성하거나, 그림 분야에서는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등의 작업에 사용됩니다. 또한,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거나, 챗봇과 같은 대화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도 활용됩니다. 최근에는 Generative AI가 더욱 진보되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나 비디오, 음악 등을 생성해 내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예술 분야나 게임 개발 분야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1. Generative AI 개념과 역사

Generative AI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데이터에서 패턴을 학습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입니다.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이미지, 음악,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Generative AI는 기본적으로 확률론적 생성 모델의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따라서 기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확률분포 모델링이 필요합니다. 확률분포 모델링은 기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Generative AI의 역사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시작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주로 분류와 회귀와 같은 기존의 머신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였습니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에 들어서면서 딥러닝이 발전하면서 Generative AI의 분야도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Generative AI의 대표적인 모델로는 Autoencoder, Variational Autoencoder(VA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모델들은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최근에는 Generative AI가 더욱 진보되어, 존재하지 않는 이미지, 비디오, 음악 등을 생성해 내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예술 분야나 게임 개발 분야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1.2. Generative AI 개념과 역사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아래는 Generative AI가 사용되는 대표적인 분야와 예시입니다.

  1. 예술과 디자인
    •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자동화된 작품 생성
    • 디자인 자동화 및 툴 개발
  2. 게임 개발
    •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새로운 맵 생성
    • 게임 캐릭터 및 아이템 자동 생성
  3. 음악
    •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새로운 멜로디 생성
    • 음악 생성 프로그램 개발
  4. 대화 시스템 및 자연어 처리
    •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대화 시스템 자동 생성
    • 자연어 처리 모델 개발
  5. 영상 및 이미지 생성
    •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새로운 영상 및 이미지 생성
    • 예술 작품 및 특수효과 생성
  6. 로봇 및 자율주행
    •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로봇이나 자율주행차의 동작을 생성
    • 로봇 및 자율주행차의 자동화
  7. 의학
    •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 데이터 분석 및 진단 보조
    • 의학 연구 및 새로운 약물 개발

Generative AI는 위와 같은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Generative AI 기술은 데이터의 생성과 변환을 자동화함으로써,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2 Generative 모델의 기초

Generative 모델은 데이터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확률론적 모델입니다. Generative 모델은 데이터를 확률적인 분포로 모델링하고, 이 분포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이를 위해 기존 데이터의 분포를 추정하고, 이 분포를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Generative 모델의 기초에는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포함됩니다.

  1. 확률론적 모델링
    • 데이터의 확률적 분포 모델링
    • 확률분포 모델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 생성
  2. 최대우도 추정
    • 데이터의 분포 추정
    • 최대우도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모수 추정
  3. 베이즈 추정
    • 데이터 분포의 사전분포와 가능도를 고려하여 모수 추정
    • 새로운 데이터 생성을 위한 사후분포 추정

Generative 모델링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모델
    • 입력 변수들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가정을 기반으로 함
    • 베이즈 정리를 이용하여 조건부 확률 계산
  2. 은닉 마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HMM)
    • 시계열 데이터에 적합한 모델링 방법
    • 숨겨진 상태와 관측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링
  3. 잠재 변수 모델(Latent Variable Model)
    • 잠재 변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포를 모델링
    • 오토인코더(Autoencoder) 등이 이에 해당
  4. 생성적 적대 신경망(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 생성자와 판별자로 이루어진 두 개의 신경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
    • 생성자는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고, 판별자는 이를 실제 데이터와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짐

Generative 모델의 기초는 이러한 개념과 모델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2.1. 확률론적 생성 모델의 기초

확률론적 생성 모델은 데이터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델입니다. 이를 위해 기존 데이터의 분포를 모델링하고, 이 분포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확률론적 생성 모델의 기초에는 다음과 같은 개념들이 포함됩니다.

  1. 확률분포 모델링
    • 기존 데이터의 확률분포 모델링
    • 확률분포 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 생성
  2. 최대우도 추정
    • 데이터의 분포 추정
    • 최대우도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모수 추정
  3. 베이즈 추정
    • 데이터 분포의 사전분포와 가능도를 고려하여 모수 추정
    • 새로운 데이터 생성을 위한 사후분포 추정

확률론적 생성 모델링의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 GMM)
    • 데이터가 여러 개의 가우시안 분포에서 생성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함
    • EM(Expectation-Maximiz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수 추정
  2. 디리클레 분포를 이용한 토픽 모델링
    • 문서의 토픽 분포를 모델링
    • 디리클레 분포를 이용하여 문서의 토픽 분포와 단어의 분포를 추정
  3. 베이지안 신경망(Bayesian Neural Network)
    • 딥러닝에서의 확률론적 모델링 방법
    • 가중치의 사전분포와 가능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추정

확률론적 생성 모델링은 이러한 개념과 방법을 이용하여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기존 데이터의 속성을 파악하고 변환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2. 확률분포 모델링

확률분포 모델링은 기존 데이터의 분포를 추정하고, 이 분포를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확률분포 모델링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예측, 분류, 생성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확률분포 모델링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가우시안 분포 모델링
    • 대부분의 데이터가 가우시안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함
    • 평균과 분산을 이용하여 가우시안 분포 모델링
  2. 디리클레 분포 모델링
    • 베이지안 토픽 모델링 등에 활용됨
    • 다차원 벡터의 확률분포를 모델링
  3. 베타 분포 모델링
    • 베이지안 로지스틱 회귀 등에 활용됨
    • 이항 분포에서의 성공 확률을 모델링
  4. 디리클레 과정 모델링
    • 시계열 데이터의 확률분포를 모델링
    • 디리클레 분포의 일반화된 형태
  5. 마코프 체인 모델링
    •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의 분포 모델링
    • 전이확률과 초기상태 확률을 이용하여 모델링

확률분포 모델링은 이러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3. 최대우도 추정과 베이즈 추정

최대우도 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과 베이즈 추정(Bayesian Estimation)은 데이터의 분포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1. 최대우도 추정
    • 주어진 데이터에서 모수값을 추정할 때 사용되는 방법
    • 모수값을 추정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됨
    • 우도 함수(Likelihood Function)을 최대화하는 모수값을 추정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로그 우도 함수(Log Likelihood Function)을 최대화하는 방법으로 추정
  2. 베이즈 추정
    • 모수 추정 시 사전 분포를 고려하는 방법
    •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사전 분포(Prior Distribution)와 결합해 사후 분포(Posterior Distribution)를 추정
    • 사후 분포를 통해 모수 값을 추정하며, 이때 사후 분포는 주어진 데이터와 사전 분포를 바탕으로 계산됨
    • 사전 분포는 주어진 문제에 맞게 설정되며, 사후 분포는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를 이용하여 계산

최대우도 추정은 주어진 데이터에 대한 가능도를 최대화하는 모수 값을 추정하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데이터의 분포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베이즈 추정은 사전 분포와 가능도를 결합하여 사후 분포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모수 값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두 방법 모두 데이터의 분포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며, 선택하는 방법은 주어진 문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최대우도 추정은 데이터가 충분히 많은 경우에 적합하며, 베이즈 추정은 사전 분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는 경우나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에 적합합니다.

3. Variational Autoencoder (VAE)

Variational Autoencoder(VAE)는 딥러닝에서 생성 모델링에 사용되는 확률적 인공신경망 중 하나입니다. VAE는 데이터를 잠재 공간(latent space) 상의 확률분포로 인코딩하여 생성 모델링을 수행합니다. VAE는 Autoencoder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Encoder, Decoder, Loss function으로 구성됩니다. Encoder는 입력 데이터를 잠재 공간 상의 확률분포로 인코딩하고, Decoder는 잠재 공간의 확률분포로부터 샘플링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VAE의 핵심 아이디어는 입력 데이터를 잠재 공간의 확률분포로 인코딩하는 것입니다. 인코딩된 확률분포는 정규분포를 가정하며, 이를 통해 잠재 공간의 차원을 탐색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Encoder는 입력 데이터를 평균과 분산으로 인코딩하고, Decoder는 잠재 공간의 평균과 분산으로부터 샘플링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VAE의 Loss function은 입력 데이터와 재구성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때, Loss function에는 KL divergence 항도 포함되는데, 이는 인코딩된 확률분포와 정규분포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항입니다. KL divergence 항은 인코딩된 확률분포가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도록 학습하는 데 사용됩니다. VAE는 데이터의 분포를 학습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데이터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3.1. Autoencoder 의 개념과 구조

Autoencoder는 입력 데이터를 압축하고 재구성하는 인공신경망 모델입니다. 입력 데이터를 압축한 후, 이를 재구성함으로써 원래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Autoencoder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 모델로,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하여 재구성에 사용합니다. Autoencoder는 보통 Encoder와 Decoder 두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Encoder는 입력 데이터를 저차원의 잠재 공간(Latent Space)으로 매핑합니다. 이때, 입력 데이터의 중요한 특징을 추출하여 잠재 공간으로 인코딩합니다. 잠재 공간은 입력 데이터보다 차원이 낮아 압축된 데이터를 의미합니다. Decoder는 잠재 공간의 데이터를 다시 원래 차원의 데이터로 복원합니다. Autoencoder는 Encoder와 Decoder 사이의 차원 축소 과정으로 입력 데이터의 잠재적인 표현을 학습합니다. 이때, 입력 데이터와 복원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학습이 이루어집니다. 이 최소화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d Error)와 교차 엔트로피(Cross Entropy) 등이 있습니다. Autoencoder는 차원 축소, 잡음 제거, 이미지 변형 등 다양한 작업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압축에서는 이미지를 Autoencoder로 인코딩하여 차원을 줄인 후, 이를 다시 디코딩하여 원래 이미지를 복원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 정보를 손실하게 되지만, 재구성 오차가 적은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3.2. Variational Autoencoder 의 개념과 구조

Variational Autoencoder(VAE)는 Autoencoder의 변형으로, 생성 모델링에 사용되는 확률적 인공신경망 모델입니다. VAE는 데이터를 잠재 공간(Latent Space) 상의 확률 분포로 인코딩하여 생성 모델링을 수행합니다. VAE는 기존 Autoencoder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Encoder, Decoder, Loss function으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VAE는 입력 데이터의 잠재 공간에서의 확률 분포를 학습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VAE의 핵심 아이디어는 입력 데이터를 잠재 공간 상의 확률 분포로 인코딩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코딩 방식을 통해 잠재 공간의 차원을 탐색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Encoder는 입력 데이터를 평균과 분산으로 인코딩하고, Decoder는 잠재 공간의 평균과 분산으로부터 샘플링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VAE의 Loss function은 입력 데이터와 재구성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때, Loss function에는 KL divergence 항도 포함되는데, 이는 인코딩된 확률 분포와 정규분포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항입니다. KL divergence 항은 인코딩된 확률 분포가 정규분포에 가까워지도록 학습하는 데 사용됩니다. VAE는 데이터의 분포를 학습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데이터에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3.3. VAE를 이용한 이미지, 음성, 텍스트 생성 등의 예시

Variational Autoencoder(VAE)를 이용하여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성 과정에서는 VAE의 학습된 모델에서 잠재 공간에서의 샘플링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1. 이미지 생성 VAE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학습 데이터에서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한 뒤, 잠재 공간에서의 샘플링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CIFAR-10, MNIST 등의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학습한 VAE에서 잠재 공간에서의 샘플링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음성 생성 VAE를 이용하여 음성을 생성할 때는 학습 데이터에서 음성의 특징을 추출한 뒤, 잠재 공간에서의 샘플링을 통해 새로운 음성을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WaveNet 등의 음성 인식 모델을 VAE와 결합하여 음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텍스트 생성 VAE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생성할 때는 학습 데이터에서 단어의 특징을 추출한 뒤, 잠재 공간에서의 샘플링을 통해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Word2Vec 등의 텍스트 인식 모델을 VAE와 결합하여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VAE를 이용하여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VAE를 이용한 생성 모델링은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4.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은 생성 모델링에 사용되는 인공신경망 모델로, 2014년 Ian Goodfellow 등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GAN은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GAN은 Generator와 Discriminator 두 개의 모델로 구성됩니다. Generator는 무작위 잡음 등을 입력으로 받아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Discriminator는 Generator가 생성한 가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구분하여 실제 데이터를 판별합니다. GAN은 두 모델을 서로 경쟁시켜서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Generator는 Discriminator를 속이기 위해 더 진짜 같은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려고 노력합니다. Discriminator는 Generator가 생성한 가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이러한 경쟁을 통해, Generator는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Discriminator는 더욱 정확한 판별기가 되게 됩니다. GAN은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CIFAR-10, MNIST 등의 이미지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GAN을 학습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WaveNet 등의 음성 인식 모델을 GAN과 결합하여 음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GAN은 생성 모델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4.1. GAN 의 개념과 구조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은 딥러닝에서 생성 모델링에 사용되는 인공신경망 모델로,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GAN은 Generator와 Discriminator 두 개의 모델로 구성됩니다. Generator는 무작위 잡음 등을 입력으로 받아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Discriminator는 Generator가 생성한 가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구분하여 실제 데이터를 판별합니다. GAN은 두 모델을 서로 경쟁시켜서 학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Generator는 Discriminator를 속이기 위해 더 진짜 같은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려고 노력합니다. Discriminator는 Generator가 생성한 가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이러한 경쟁을 통해, Generator는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고, Discriminator는 더욱 정확한 판별기가 되게 됩니다. GAN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집니다.

  1. Generator
  • 무작위 잡음 등을 입력으로 받아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 일반적으로 디코더(Decoder)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1. Discriminator
  • Generator가 생성한 가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구분하여 실제 데이터를 판별합니다.
  • 일반적으로 판별기(Discriminator)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GAN은 생성 모델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4.2. GAN을 이용한 이미지, 음성, 텍스트 생성 등의 예시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은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에서 사용되어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이미지 생성 GAN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때는 Generator가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가짜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학습합니다. 이때, Generator는 무작위 잡음 등을 입력으로 받아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CIFAR-10, MNIST 등의 이미지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GAN을 학습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음성 생성 GAN을 이용하여 음성을 생성할 때는 Generator가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가짜 음성을 생성하도록 학습합니다. 이때, Generator는 무작위 잡음 등을 입력으로 받아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WaveNet 등의 음성 인식 모델을 GAN과 결합하여 음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텍스트 생성 GAN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생성할 때는 Generator가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가짜 텍스트를 생성하도록 학습합니다. 이때, Generator는 무작위 잡음 등을 입력으로 받아 실제 데이터와 비슷한 가짜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RNNLM 등의 텍스트 인식 모델을 GAN과 결합하여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GAN을 이용하여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GAN은 생성 모델링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4.3. GAN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GAN은 매우 강력한 생성 모델링 기술이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1. Mode Collapse
  • Generator가 학습 데이터에서 일부만 학습하게 되어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하지 못하는 현상입니다.
  • 해결 방법으로는 Generator와 Discriminator의 구조를 변경하거나, 다양한 loss function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1. Vanishing Gradient
  • Generator가 생성한 가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를 구분하기 어려워 학습이 어려워지는 현상입니다.
  • 해결 방법으로는 LeakyReLU, Wasserstein GAN 등의 구조를 사용하거나, Gradient Penalty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1. 학습 데이터의 불균형성
  • 학습 데이터가 불균형하게 분포되어 있을 경우, Generator가 특정 클래스의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 편향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으로는 데이터 증강(Data Augmentation)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1. 모델의 안정성
  • Generator와 Discriminator의 학습 속도 차이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모델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해결 방법으로는 학습률(learning rate)을 조절하거나, Discriminator가 학습을 너무 빨리하는 경우 Generator를 더 많이 학습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GAN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기술들이 계속해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딥러닝 모델의 활용

Generative AI를 위한 딥러닝 모델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다음은 Generative AI를 위한 딥러닝 모델의 주요 활용 분야입니다.

  1. 이미지 생성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GAN)을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가짜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1. 음성 생성
  • GAN이나 Variational Autoencoder(VAE)를 이용하여 음성을 생성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음악 생성, 음성 합성, 음성 텍스트 변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1. 텍스트 생성
  • VAE나 Recurrent Neural Network(RNN)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생성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문장 생성, 대화 시스템, 기계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1. 추천 시스템
  •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추천 시스템을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Collaborative Filtering, Content-based Filtering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추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1. 자율 주행 자동차
  •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자율 주행 자동차를 개발합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차선 인식, 신호 인식 등을 수행하거나, 음성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인식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Generative AI를 위한 딥러닝 모델을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딥러닝 모델의 발전과 함께 새로운 활용 분야들이 계속해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1. Transfer Learning과 Fine-tuning을 이용한 Generative AI

Transfer Learning과 Fine-tuning을 이용하여 Generative AI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이 방법들은 사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셋을 더 적은 시간과 데이터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1. Transfer Learning Transfer Learning은 기존에 학습한 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셋을 학습하는 방법입니다. 기존 모델은 이미지 분류, 객체 검출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에서 학습되었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학습된 모델은 고차원의 특징을 추출하는 능력이 높아서 새로운 데이터셋에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2. Fine-tuning Fine-tuning은 사전 학습된 모델을 새로운 데이터셋에 맞게 조정하는 방법입니다. 새로운 데이터셋에서 모델을 추가로 학습시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사전 학습된 모델이 새로운 데이터셋에서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Generative AI 모델을 학습시킬 때에도 Transfer Learning과 Fine-tuning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생성 모델에서는 GAN이나 VAE 등을 이용하여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 사전 학습된 이미지 분류 모델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고차원 특징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GAN이나 VAE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Fine-tuning을 이용하여 이미지 생성 모델을 새로운 데이터셋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적은 양의 데이터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Transfer Learning과 Fine-tuning은 Generative AI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적은 시간과 데이터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Generative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5.2. 다중스타일 Transfer Learning

다중 스타일 Transfer Learning은 여러 개의 스타일을 합쳐서 새로운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일반적인 Transfer Learning에서 사용되는 단일 스타일 대신 여러 개의 스타일을 동시에 적용하여 모델을 학습시킵니다.

다중 스타일 Transfer Learning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때, 모델은 여러 개의 스타일을 학습하고, 입력 이미지에 대해 이러한 스타일 중 어느 것을 적용할지 선택합니다. 이 방법은 기존의 스타일 Transfer Learning보다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이미지 생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다중 스타일 Transfer Learning을 이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모델 학습
  • 기존의 Transfer Learning과 마찬가지로, 먼저 사전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기본적인 이미지 생성 기능을 학습시킵니다.
  • 이후에는 여러 개의 스타일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모델을 추가로 학습시킵니다.
  1. 스타일 결합
  •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때, 여러 개의 스타일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할지 결정합니다.
  •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스타일 데이터셋에서 학습한 모델들을 결합하고,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때에는 이러한 모델들을 동시에 이용합니다.

다중 스타일 Transfer Learning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할 때, 더욱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예술,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이고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5.3. 큰 모델을 이용한 Generative AI

큰 모델을 이용한 Generative AI는 더욱 정교하고 복잡한 모델을 사용하여 높은 품질의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 GPT-3, DALL-E 등이 있습니다. 큰 모델은 대용량의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학습되며, 다양한 복잡한 과제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Generative AI 모델을 학습시키면, 더욱 정교하고 복잡한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큰 모델을 이용한 Generative AI의 학습 방법은 일반적인 딥러닝 모델과 유사합니다.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1. 모델 선택
  • 대규모 모델 중에서 적합한 모델을 선택합니다. 대표적으로 GPT-3, DALL-E, BigGAN 등이 있습니다.
  1. 데이터셋 준비
  • 모델을 학습시킬 데이터셋을 준비합니다. 이때, 대용량의 데이터셋이 필요합니다.
  1. 모델 학습
  • 선택된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셋을 학습시킵니다. 이때, GPU나 TPU 등의 대규모 컴퓨팅 자원이 필요합니다.
  1. 모델 평가
  •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학습을 진행합니다.

큰 모델을 이용한 Generative AI는 높은 품질의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을 생성할 수 있지만, 대규모 모델과 대량의 데이터셋, 대규모 컴퓨팅 자원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구 사항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큰 모델을 이용한 Generative AI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다음은 Generative AI의 주요 활용 분야입니다.

  1. 예술
  • Generative AI는 예술 작품을 생성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GAN을 이용하여 새로운 예술 작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디자인
  • Generative AI는 디자인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GAN을 이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생성하거나, VAE를 이용하여 디자인 공간에서 유의미한 보간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게임
  • Generative AI는 게임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GAN을 이용하여 새로운 게임 캐릭터를 생성하거나, VAE를 이용하여 게임 내의 환경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영상 및 음성
  • Generative AI는 영상 및 음성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GAN이나 VAE를 이용하여 영상 및 음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1. 의료
  • Generative AI는 의료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GAN이나 VAE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특정 질병의 진단을 돕는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1. 자율 주행 자동차
  • Generative AI는 자율 주행 자동차 분야에서도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GAN이나 VAE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 자동차가 사용할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주행 환경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미래에는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Generative AI의 활용이 예상됩니다.

6.1. 예술과 디자인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Generative AI는 창의적인 작품 생성에 매우 유용합니다. 다양한 종류의 Generative AI 기술 중에서도 GAN, VAE, Style Transfer 등이 예술과 디자인 분야에서 많이 활용됩니다.

  1. GAN을 이용한 예술 작품 생성 GAN은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의 생성에 매우 유용합니다. 예술 분야에서는 GAN을 이용하여 새로운 예술 작품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GAN을 이용하면 작가의 스타일을 학습하여 그와 유사한 새로운 작품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VAE를 이용한 디자인 생성 VAE는 이미지, 음성, 텍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잠재적인 공간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분야에서는 VAE를 이용하여 디자인 공간을 학습하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디자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Style Transfer를 이용한 예술 작품 생성 Style Transfer는 두 이미지의 스타일을 섞어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예술 분야에서는 Style Transfer를 이용하여 이미지에 예술적인 스타일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예술과 디자인 작품을 생성하는 것은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화된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예술 및 디자인 분야에서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6.2. 게임 개발

Generative AI는 게임 개발 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합니다. 게임은 다양한 시나리오와 캐릭터, 아이템, 환경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Generative AI를 이용한 게임 개발 분야에서 주요한 활용 예시입니다.

  1. GAN을 이용한 게임 캐릭터 생성 GAN은 이미지 생성에 매우 유용합니다. 게임 개발 분야에서는 GAN을 이용하여 다양한 스타일의 게임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캐릭터의 외형과 특징을 더욱 다양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VAE를 이용한 게임 환경 생성 VAE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잠재적인 공간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게임 개발 분야에서는 VAE를 이용하여 게임 내의 환경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게임 플레이어에게 더욱 흥미로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Reinforcement Learning을 이용한 게임 AI 개발 Reinforcement Learning은 강화학습 기술로, 게임 AI 개발에 매우 유용합니다. 게임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NPC(non-player character)의 행동을 제어하거나, 게임 AI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
  4. 게임 시나리오 생성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게임 시나리오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게임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나리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게임을 개발하는 것은 게임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더욱 다양하고 창의적인 게임을 만들어내기 위해 Generative AI의 활용이 필요합니다.

6.3. 대화 시스템 및 자연어 처리

Generative AI는 대화 시스템 및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도 매우 유용합니다. 다음은 Generative AI를 이용한 대화 시스템 및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주요한 활용 예시입니다.

  1. 챗봇 개발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챗봇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GAN을 이용하여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거나, LSTM(Long Short-Term Memory) 등을 이용하여 대화 흐름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2. 자연어 생성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자연어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GPT-3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을 이용하여 문장, 단락, 문서 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기계 번역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기계 번역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GAN, VAE 등의 Generative AI 모델을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번역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4. 자연어 이해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자연어 이해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Transformer 모델을 이용하여 자연어 문장을 번역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대화 시스템 및 자연어 처리 분야를 개선하는 것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더욱 자연스러운 대화 시스템과 정확한 자연어 처리 결과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7. Generative AI 의 한계와 미래 전망

Generative AI는 현재 많은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새로운 창의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몇 가지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1. 데이터 부족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대부분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일부 분야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Generative AI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어렵습니다.
  2. 연산 비용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많은 연산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델 학습 및 추론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편향성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학습 데이터에 편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편향성은 생성된 결과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점들에 대해서도 현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며, 새로운 기술과 모델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Generative AI는 미래에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래 전망으로는 다양한 분야에서 Generative AI의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인간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모사하는 Generative AI 기술은 예술, 디자인, 음악 등 창의적인 분야에서의 활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Generative AI 기술은 보안, 의료, 자율주행,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Generative AI의 발전과 활용은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더욱 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7.1. Generative AI 의 한계와 문제점

Generative AI는 많은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성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몇 가지 한계와 문제점이 존재합니다.

  1. 데이터 부족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대부분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일부 분야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Generative AI 모델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어렵습니다.
  2. 연산 비용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많은 연산 자원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델 학습 및 추론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3. 편향성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학습 데이터에 편향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편향성은 생성된 결과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4. 결과물의 질과 안정성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학습 과정에서 오차가 누적될 수 있어, 생성된 결과물의 질과 안정성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해석 가능성 문제 Generative AI 모델은 생성된 결과물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모델의 해석 가능성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델의 설명력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합니다.
  6. 윤리적 문제 Generative AI 기술을 이용하여 악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윤리적인 측면에서도 Generative AI 기술의 사용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Generative AI의 한계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욱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특히, 데이터 부족 문제와 연산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데이터와 연산 자원을 확보하는 기술적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모델의 안정성과 해석 가능성, 그리고 윤리적인 측면에서의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합니다.

7.2. 미래에 Generative AI가 가질 가능성과 활용 방안

Generative AI는 미래에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인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는 Generative AI 기술은 새로운 혁신과 창의성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활용 방안들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창작 예술 작품 생성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창작 예술 작품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GAN 기반의 작품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미술작품, 음악 작곡 등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디자인 생성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디자인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VAE 기반의 디자인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의류 디자인, 제품 디자인 등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게임 개발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게임 개발을 보다 창의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AN 기반의 캐릭터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스타일의 게임 캐릭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4. 자연어 생성 및 이해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자연어 생성 및 이해 분야에서도 높은 수준의 성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GPT-3와 같은 대규모 언어 모델을 이용하여 문장, 단락, 문서 등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5. 의학 분야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의학 분야에서 질병 진단, 약물 개발 등의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6. 광고 및 마케팅 분야 Generative AI를 이용하여 광고 및 마케팅 분야에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GAN 기반의 이미지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제품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VAE 기반의 디자인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광고 디자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Generative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혁신과 창의성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Generative AI 기술의 발전과 활용은 미래에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Variational Autoencoder code]

import tensorflow as tf

from tensorflow.keras import layers

latent_dim = 10

인코더 구현

encoder_inputs = tf.keras.Input(shape=(28, 28, 1))

x = layers.Conv2D(32, 3, activation="relu", strides=2, padding="same")(encoder_inputs)

x = layers.Conv2D(64, 3, activation="relu", strides=2, padding="same")(x)

x = layers.Flatten()(x)

x = layers.Dense(16, activation="relu")(x)

잠재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계산

z_mean = layers.Dense(latent_dim, name="z_mean")(x)

z_log_var = layers.Dense(latent_dim, name="z_log_var")(x)

잠재 변수 샘플링

def sampling(args):

z_mean, z_log_var = args

batch = tf.shape(z_mean)[0]

dim = tf.shape(z_mean)[1]

epsilon = tf.keras.backend.random_normal(shape=(batch, dim))

return z_mean + tf.exp(0.5 * z_log_var) * epsilon

z = layers.Lambda(sampling, output_shape=(latent_dim,))([z_mean, z_log_var])

디코더 구현

decoder_inputs = layers.Input(shape=(latent_dim,))

x = layers.Dense(7 * 7 * 64, activation="relu")(decoder_inputs)

x = layers.Reshape((7, 7, 64))(x)

x = layers.Conv2DTranspose(64, 3, activation="relu", strides=2, padding="same")(x)

x = layers.Conv2DTranspose(32, 3, activation="relu", strides=2, padding="same")(x)

decoder_outputs = layers.Conv2DTranspose(1, 3, activation="sigmoid", padding="same")(x)

VAE 모델 생성

encoder = tf.keras.Model(encoder_inputs, z_mean)

decoder_inputs = layers.Input(shape=(latent_dim,))

decoder_input_layer = layers.Dense(7 * 7 * 64, activation="relu")(decoder_inputs)

decoder_input_layer = layers.Reshape((7, 7, 64))(decoder_input_layer)

decoder_output_layer = decoder_outputs(decoder_input_layer)

vae = tf.keras.Model([encoder_inputs, decoder_inputs], decoder_output_layer)

KL divergence와 reconstruction loss 계산

kl_loss = -0.5 * tf.reduce_mean(z_log_var - tf.square(z_mean) - tf.exp(z_log_var) + 1)

reconstruction_loss = tf.reduce_mean(tf.keras.losses.binary_crossentropy(encoder_inputs, decoder_output_layer))

vae_loss = kl_loss + reconstruction_loss

모델 컴파일

vae.add_loss(vae_loss)

vae.compile(optimizer="adam")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code]

import torch

import torch.nn as nn

import torch.optim as optim

import torchvision.datasets as dsets

import torchvision.transforms as transforms

from torch.utils.data import DataLoader

from torchvision.utils import save_image

import os

결과를 저장할 디렉토리 생성

if not os.path.exists('./gan_images'):

os.makedirs('./gan_images')

하이퍼파라미터 설정

batch_size = 100

num_epochs = 200

latent_size = 64

hidden_size = 256

image_size = 784

learning_rate = 0.0002

MNIST 데이터셋 로드

train_dataset = dsets.MNIST(root='./data', train=True, transform=transforms.ToTensor(), download=True)

train_loader = DataLoader(train_dataset, batch_size=batch_size, shuffle=True)

생성자 정의

class Generator(nn.Module):

def init(self):

super(Generator, self).init()

self.fc1 = nn.Linear(latent_size, hidden_size)

self.fc2 = nn.Linear(hidden_size, hidden_size)

self.fc3 = nn.Linear(hidden_size, image_size)

self.relu = nn.ReLU()

self.tanh = nn.Tanh()

def forward(self, x):

x = self.relu(self.fc1(x))

x = self.relu(self.fc2(x))

x = self.tanh(self.fc3(x))

return x

판별자 정의

class Discriminator(nn.Module):

def init(self):

super(Discriminator, self).init()

self.fc1 = nn.Linear(image_size, hidden_size)

self.fc2 = nn.Linear(hidden_size, hidden_size)

self.fc3 = nn.Linear(hidden_size, 1)

self.relu = nn.ReLU()

self.sigmoid = nn.Sigmoid()

def forward(self, x):

x = self.relu(self.fc1(x))

x = self.relu(self.fc2(x))

x = self.sigmoid(self.fc3(x))

return x

모델, 손실 함수, 최적화 함수 초기화

generator = Generator()

discriminator = Discriminator()

criterion = nn.BCELoss()

gen_optimizer = optim.Adam(generator.parameters(), lr=learning_rate)

dis_optimizer = optim.Adam(discriminator.parameters(), lr=learning_rate)

학습

for epoch in range(num_epochs):

for i, (images, _) in enumerate(train_loader):

images = images.reshape(batch_size, -1)

진짜 이미지와 가짜 이미지 레이블 생성

real_labels = torch.ones(batch_size, 1)

fake_labels = torch.zeros(batch_size, 1)

생성자 학습

z = torch.randn(batch_size, latent_size)

fake_images = generator(z)

dis_fake = discriminator(fake_images)

gen_loss = criterion(dis_fake, real_labels)

gen_optimizer.zero_grad()

gen_loss.backward()

gen_optimizer.step()

판별자 학습

dis_real = discriminator(images)

dis_fake = discriminator(fake_images.detach())

dis_loss_real = criterion(dis_real, real_labels)

dis_loss_fake = criterion(dis_fake, fake_labels)

dis_loss = dis_loss_real + dis_loss_fake

dis_optimizer.zero_grad()

dis_loss.backward()

dis_optimizer.step()

결과 출력

print('Epoch [{}/{}], Step [{}/{}], Gen Loss: {:.4f}, Dis Loss: {:.4f}'.format(

epoch+1, num_epochs, i+1, len(train_loader), gen_loss.item(), dis_loss.item()))

생성된 이미지 저장

if (epoch+1) % 10 == 0:

save_image(fake_images.view(fake_images.size(0), 1, 28, 28), './gan_images/fake_images-{}.png'.format(epoch+1))

반응형
LIST

'Generative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Generative AI on GCP  (0) 2024.04.15
Generative AI on Coursera Lectures  (0) 2024.04.15
Generative AI on Databricks  (0) 2024.04.15
Generative AI on AWS  (0) 2024.04.13
Generative AI 플랫폼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3.11